새표준어-2011.9.1
새 표준어 (2011.9.1)
★ 현재 표준어와 같은 뜻으로 추가로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11개)
추가된 표준어 |
현재 표준어 |
간지럽히다 |
간질이다 |
남사스럽다 |
남우세스럽다 |
등물 |
목물 |
맨날 |
만날 |
묫자리 |
묏자리 |
복숭아뼈 |
복사뼈 |
세간살이 |
세간 |
쌉싸름하다 |
쌉싸래하다 |
토란대 |
고운대 |
허접쓰레기 |
허섭스레기 |
흙담 |
토담 |
★ 두 가지 표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3개)
추가된 표준어 |
현재 표준어 |
택견 |
태껸 |
품새 |
품세 |
짜장면 |
자장면 |
★ 현재 표준어와 별도의 표준어로 추가로 인정한 경우(25개)
추가된 표준어 |
현재 표준어 |
뜻 차이 |
~길래 |
~기에 |
~길래 : ~기에의 구어적 표현 |
개발새발 |
괴발개발 |
‘괴발개발’은 고양이의 발과 개의 발이라는 뜻이고, ‘개발새발’은 개의 발과 새의 발이라는 뜻임. |
나래 |
날개 |
‘나래’는 ‘날개’의 문학적 표현 |
내음 |
냄새 |
‘내음’은 향기롭거나 나쁘지 않은 냄새로 제한됨. |
눈꼬리 |
눈초리 |
‘눈초리’: 어떤 대상을 바라볼 때 눈에 나타나는 표정 예) 매서운 눈초리’ ‘눈꼬리’: 눈의 귀 쪽으로 째진 부분. |
떨구다 |
떨어뜨리다 |
‘떨구다’에 시선을 아래로 향하다라는 뜻이 있음 |
뜨락 |
뜰 |
‘뜨락’에는 추상적 공간을 비유하는 뜻이 있음. |
먹거리 |
먹을거리 |
먹거리 : 사람이 살아가기 위하여 먹는 음식을 통틀어 이름. |
메꾸다 |
메우다 |
‘메꾸다’에 ‘무료한 시간을 적당히 또는 그럭저럭 흘러가게 하다’ 라는 뜻이 있음 |
손주 |
손자 |
손자: 아들이 아들 또는 딸의 아들 손주: 손자와 손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어리숙하다 |
어수룩하다 |
‘어수룩하다’는 순박함/순진함의 뜻이 강한 반면, ‘어리숙하다’는 어리석음의 뜻이 강함. |
연신 |
연방 |
‘연신’이 반복성을 강조한다면, ‘연방’은 연속성을 강조. |
휭하니 |
힁허케 |
힁허케: ‘휭하니’의 예스러운 표현 |
걸리적거리다 |
거치적거리다 |
자음 또는 모음의 차이로 인한 어감 및 뜻 차이 존재. |
끄적거리다 |
끼적거리다 |
〃 |
두리뭉실하다 |
두루뭉술하다 |
〃 |
맨숭맨숭/ 맹숭맹숭 |
맨송맨송 |
〃 |
바둥바둥 |
바동바동 |
〃 |
아웅다웅 |
아옹다옹 |
〃 |
새초롬하다 |
새치름하다 |
〃 |
야멸차다 |
야멸치다 |
〃 |
오손도손 |
오순도순 |
〃 |
찌뿌둥하다 |
찌뿌듯하다 |
〃 |
추근거리다 |
치근거리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