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서 四書>
1.論語 (논어)
孔子(bc551~479)
제자들이 적은 공자의 말과 공자 제자들의 말,
仁을 강조,
공자의 언행록,
공자 死後에 씌여짐.
2.孟子 (맹자)
맹자(bc372~289)의 주도 아래 제자 만장,공손후가 씀
性善說,
仁+義 (공자 : 仁, 맹자 : 義 추가)
공자의 뜻을 진술,
時世順應을 부가(附加)함.
3.中庸 (중용)
子思(자사, 공자의 손자)와 孔伋(공급,bc483~402)이 정리
후대에 보완,
성선설 중심,
天日合一思想(천일합일사상)
三達德(삼달덕) - 智, 仁, 勇 (지혜, 덕망, 용기)
五達道(오달도) - 親, 義, 別, 序, 信 (친교, 의리, 사리분별, 질서, 믿음)
* 五倫
父子有親(부자유친) - 어버이와 자식간에는 '친함'이 있어야
君臣有義(군신유의) - 임금(나라의 리더)과 신하(관리)는 (옳은)'의리'가 있어야
夫婦有別(부부유별) - 남편과 아내, 지어비와 비어미는 '각각 맡은 바' 나누어 할 것이 있어야
長幼有序(장유유서) - 어른과 아이, 지위가 낮고 높음에 있어 '순서'가 있어야
朋友有信(붕우유신) - 친구를 사귐에 제일 으뜸이 '믿음'이 있어야 한다.
- '맹자'에 나옴-
* 세속오계
원광법사 - 수(隋)나라 구법(求法) 귀국후,
화랑 귀산貴山, 추항(箒項)이 <일생을 두고 경계할 금언>을 청하자, 오계를 줌.
事君以忠(사군이충) ~ 임금(나라)는 충성으로 섬겨야 하고,
事親以孝(사친이효) ~ 어버이(부모,어른)는 지극히 효도하는 로 섬겨야 하고,
交友以信(교우이신) ~ 친구를 사귐에 있어 (진정성이 담보된)믿음이 앞서야 하며,
臨戰無退(임전무퇴) ~ 전쟁에 나서는 군인에게는 후퇴는 있을 수 없다(화랑(=장교)에게 주는 말),
殺生有擇(살생유택) ~ 살아있는 생명을 이유없이 죽이지 말라.(부처님의 가르침이다)
* 三綱(삼강)
- 儒敎 道德 根本綱目 유교 도덕의 근본 강목이다.
君爲臣綱 군위신강
~ 임금(통치자)과 신하(나라를 이끌어 가는 핵심 세력)은 옳은 정신(義)가 뼈대가 되어야 한다.
즉 지켜야 할 도리(綱, 벼리강)
父爲子綱 부위자강
~ 아비(어미)와 자식간에 지켜야 할 도리가 있다
夫爲婦綱 부위부강
~ 지아비(남편)과 지어미(아내)간에 지켜야 할 도리가 있다.
* 綱 : 벼리강, 핵심, 뼈대
4.大學 (대학)
-.曾子(증자, 공자제자 bc506~436)가 정리
머리말, 본서 3편 5장은 주희(朱子 주자)
중국에서 유교가 국교로 채택된 한대(漢代) 이래 오경이 기본 경전으로 전해지다가
송대에 주희(朱熹)가 당시 번성하던 불교와 도교에 맞서는
새로운 유학(性理學)의 체계를 세우면서 <예기> → 중용, 대학 두 편 독립.
o. 내용 : 삼강령, 팔조목 구성,
삼강령 - 모든 이론의 으뜸이 되는 큰 줄거리라는 뜻,
明明德· 新民· 親民· 止於至善
명명덕, 신민, 친민, 지어지선
명덕을 밝히는 것과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이 지선에 이르러 머무를 때에
나(我)와 지선이 하나가 되어 지선이 내 마음에 있는 것이 명덕이 되고,
명덕이 사물에 나타난 것이 지선이 된다.
팔조목 - 格物, 致知, 誠意, 正心, 修身, 齊家, 治國, 平天下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
*격물치지 - 모든 사물의 이치를 끝까지 파고들어 앎에 이름
*성의정심 - 진지하고 바르게 살자
*수신제가 - 내가 먼저 열심히 배우고 익혀 가정을 평온하게 다스리고
*치국평천하 - 나라를 다스리고 세상을 평화롭게 하리라
<3경 三經>
1.詩經 시경
춘추시대 민요 중심, 中國 最古 詩集 (중국에서 제일 오래된 시를 묶은 책)
西周 (서주 )~ 東周 (동주) 걸쳐 수세기 간에 걸쳐서 수집되었다.
2.書經 서경
中國 (堯舜 ~ 周), 德治를 행한 문서
중국 (요순 ~ 주), 덕치
공자가 수집
3.周易 주역
周나라의 易이라는 뜻.
자연의 구성과 변화의 현상
음양오행의 구별
형이상학적 철학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