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사물과 욕망
사물에는 욕망이 없지만
사람이 갖기를 바라므로 욕망할 만한 것이 된다.
옛날에 훌륭하게 살아간 사람은
사물을 섬기지 않았기에 바라는 것이 없었다.
物無可欲, 人欲之, 故可欲.
물무가욕, 인욕지, 고가욕.
古之善生者, 不事物, 故無欲.
고지선생자, 불사물, 고무욕.
-『감산서언(憨山緖言)』
憨 어리석을 감, 바보,해치다.상하게 하다.
緖 실마리 서, 비롯함,시초,계통
--------------
사물 그 자체에 무슨 욕망이 있겠는가.
사라미 소유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귀하게 된다.
사물을 섬길 것인가.(→사물의 노예가 된다)
도를 섬길 것인가.(→ 자유로워 진다)
<memo>
* 文化 ← 접근방법에 따라
① 테크놀로지 문화 : 방법 ← 가능하면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
② 교양주의 문화 : (방향), 목적
일본이 1910년 ②가 ①을 통제 못했기 때문에 태평양전쟁 일으킴.
'인격수양-마음부자 > 06 가난하되즐거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말을 조심해야 (0) | 2013.07.11 |
---|---|
18 검소와 사치 (0) | 2013.07.11 |
16 오래 엎드린 새는 (0) | 2013.07.11 |
15 부귀를 얻는 방법 (0) | 2013.07.11 |
14 공자의 인생편력 (0) | 201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