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동요 - 요시노강의 은어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10)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일본 지명 ‘시마’는 일관제철터 동요 ‘요시노강의 은어’로 바다 건너온 연개소문 빗대 바다에서 살다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는 은어의 특성 때문에, 고구려에서 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와 쿠데타까..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9 일본 속의 ‘곰’과 ‘호랑이’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9)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곰’신앙 맥족<貊族>, 일본 무쇠터 장악 요충지 선점한 ‘호랑이’ 숭상 예부족<濊部族> 제압 ‘고마(こま)’라는 일본어가 있다. ‘고구려’나 ‘고구려 사람’을 가리키는 낱말이다. ‘고마..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8 아비 빌린 사나이’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⑻ 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아베노히라부는 일본 속 북방 이민족인 에미시(蝦夷) 토벌에 자주 출정했는데, 에미시는 그를 먼 발치에서 보기만 해도 벌벌 떨며 곧장 항복하곤 했다. 아베노히라부는 영락없이 연개소문 같았다. 연..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7 성은 연 이름은 무쇠갈기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7)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연개소문 이름에 제철왕국 비밀 있다. 일본식 훈독 표기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는‘연못가의 무쇠’뜻해 <일본서기>에 실려 있는 이름 ‘이리가수미’는 다분히 일본어화된 훈독(訓讀) 부름새..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6 미스터리 대하드라마 일본서기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6)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사실과 허구 결합된 ‘일본서기’ ‘천무 연개소문’ 발자취를 여러 천황 이야기로 토막내 기술 <일본서기> 편찬자들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창출했다. 여러 사람의 ‘천무’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5 다섯개의 칼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5)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제철왕국 일본’ 건국한 연개소문 몬순 영향으로 강변마다 사철 넘쳐 철기 발달 ▶ 풀어진 금실이 스프링 형태로 남아 있는 금제환두태도(金製環頭太刀,고리자루달린큰칼). 5~6세기 신라 작품. 길이 13..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4 붉은 수염의 사나이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4)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일본서 개국 성공한 연개소문 당나라 소설 ‘규염객전’은 그를 모델로 ‘큰 인물’ 묘사 10년 뒤 동남쪽 수천리 밖에서 큰 사건이 일어날 것이오. 그때가 곧 내 일이 성공하는 날이오. 그 소식을 들으시..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3 두개의 아이언로드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3)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연개소문은 두 개의 ‘아이언로드’ 열었다 고구려의 철기와 제철기술자들을 일본으로, 일본으로 ▶ 1810년 일본에서 제작된 세계지도 ‘신정만국전도(新訂萬國全圖)’. 현재 일본 ‘내각문고’에 소장..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2 제철을 상징하는 청룡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2)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천무(청룡)는 시해됐다? 청룡 목에 그려진 ×는 암살 뜻해 몸은 거대한 뱀과 비슷하고 비늘로 덮여 있다. 얼굴은 길고 입가에 수염이 나 있으며, 평상시에는 바다·강·호수·늪 등의 물 속에 사는데, 때..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3.07.20
01고구려 연개소문과 일본 천무천황 [이영희교수의 고대철강사] (1)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일본 천무천황이 곧 연개소문? 고구려 수산리 고분 벽화와 닮은 일본 벽화 다카마쓰즈카 고분의 수수께끼 일본 중부지방 나라(奈良)현(縣) 아스카(明日香)촌. 마을 사람들이 생강을 저장하기 위해 산비.. 고대철강이야기/1연개소문과천무천황 201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