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家]제사 지내는 절차 제사 지내는 절차 순서 항목 주관 절 잔 수저 행동 비고 1 강신 제주 제주 .대문밖 마중 .紙榜경우 :강신먼저 降神 모두 .차례로 선다 제주 .신위앞 꿇어 앉음 양간 우집사 .잔에 술조금→제주에게 건넨다 ..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4.08.20
팔상성도(八相成道) 팔상성도(八相成道)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도솔천 내원궁의 [호명보살]은 천인들의 간청을 받아들여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도솔천을 떠나 마야부인의 태에 들었다. 정반왕과 결혼한지 20년이 넘도록 자식이 없던 마야부인은 그때 희 코끼리가 오른쪽 옆구리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태자..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4.03.16
동양종과 서양종 한국종, 일본종, 중국종 ● 동양종과 서양종 비교-1 구분 한국종 일본종 중국종 (서양종) 사진 (바닥이 둥글게) 시대 성덕대왕 신종 노트르담 대성당 모양 역 김칫독 모양 역 컵 모양 역 튤립 모양 나팔꽃 모양 음관 ○ × × (동남아종) 울림통 ○ × 있는 것도..사각형 맥놀이 ○ × × 하대 ..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4.03.16
용생구자 용생구자(龍生九子) 1.비희 贔屓 무거운 것 지기 좋아함. 돌비석 기단- 거북몸 용머리 贔(비)- 큰 거북, 屓(희)- 힘쓰는 모양 = 힘을 쓰는 큰 거북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명효릉의 강희제비문 소주 한산사 비 서안 비림의 글씨 비석 2.치문 鴟吻 鴟(치)- 솔개, 吻(문)- 입술..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4.03.16
전통와패 만들기 2013.11.1 전통와패는 양반탈, 부네탈(婦女 부녀), 말뚝이, 연화문(蓮花紋) 그리고 각시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와패에 아크릴 물감과 네임펜을 이용하여 문양을 따라 채색을 한후 투명 락카를 입히고 금장 열쇠고리를 달아 가방 장식 팬던트나 열쇠고리로 활용합니다. 파라미타 동아리 친..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3.11.06
대문/지붕의 형태 대가집 문이 생각 나시지요? 전에 살던 집이 아니실련지....... 열녀, 효자 등에게 내린 문입니다. 계단식으로 지붕이 되어 있습니다. 층을 이루고 있어 층단지붕(?)이 아닐까 합니다. 경복궁 회랑을 보시면 볼 수 있지요. 지붕의 한 형태.... 박공이 반이라 반박공 처마의 형태입니다. *출처 :..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2.07.02
심우도 심우도(尋牛圖) 십우도(十牛圖)라고도 한다. 인간의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 그린 불교 선종화(禪宗畵)이다. 심우도는 10장의 그림으로 소는 인간의 본성, 동자승은 불도(佛道)의 수행자를 비유한 것으로 12C 중엽 중국 송나라의 확암선사(廓庵禪師)가 그렸다고..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2.07.02
[스크랩] 꽃살문 모음 *충북 괴산 낙영산 공림사(落影山 公林寺)대웅전 솟을매화꽃살문 *충북 괴산 낙영산 공림사(落影山 公林寺)대웅전 솟을매화꽃살문 *강원 춘천 오봉산 청평사(五峰山 淸平寺) 극락보전 빗꽃살문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曹溪山 松廣寺)대웅보전 솟을민꽃살문 솟을민꽃살문에는 살을 잎..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2.07.02
[스크랩]108사찰순례-통도사 불지종가 국지대찰 영축총림 통도사 통도사는 낙동강과 동해를 끼고 하늘 높이 치솟은 해발 1,050미터의 영축산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 (646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로, 자장율사가 당나라 구법(求法)중에 모셔온 부처님의 사리와 가사 및 경책을 ..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2.03.15
[스크랩]108사찰순례-무위사 제 2 회 108성지순례 월출산 무위사 - 3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617년(진평왕 39)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했다고 전한다. 875년(헌강왕 1) 도선국사가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로 이름을 바꾼 뒤에 많은 승려가 주석했다고 하며 946년(..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