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용생구자

慈光/이기영 2014. 3. 16. 20:22

용생구자(龍生九子)

1.비희 贔屓

무거운 것 지기 좋아함.

돌비석 기단- 거북몸 용머리

()- 큰 거북, ()- 힘쓰는 모양 = 힘을 쓰는 큰 거북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명효릉의 강희제비문

소주 한산사 비

서안 비림의 글씨 비석

 

 

2.치문 鴟吻

()- 솔개, ()- 입술 = 솔개처럼 잘 보고 무엇이든 잘 삼키는 입.

높은 곳 좋아 전각 지붕, 황궁이나 절 건물의 용마루 양쪽 끝에 위치,

비석의 이수에~,

 

*치미 : 불 끄는 능력 탁월-화재를 누르고 재앙을 피하는 역할.

              (화마를 잡아먹음-물고기형상)

치문-경복궁 근정전

치문-경복궁 집옥재

(중국풍)

치문 보개산 석대기 비석 머리(이수)

치미

* 치미 鴟尾=꿩의 꽁지깃

 

 

3.포뢰 蒲牢

모양은 용을 닮았지만 용보다 작고, 울부짖는(소리 지르는) 것을 좋아한다.

소리가 우렁차다.

 

바다에 사는데 평시에 고래를 제일 겁을 내고,

고래 습격 시 크게 울어 그치지 않는다.

포뢰를 종의 윗부분 고리(용뉴)로 만들어 놓고,

고래모양을 새긴 나무로 종을 때린다.

 

상원사범종의 용뉴

송나라 종

중국종

 

 

4.폐안 狴犴

힘이 있어 옥문에 장식,

()- 감옥, ()-들개 =감옥을 지키는 들개.

정의를 지키는 것을 좋아하며 옥의 소송을 맡기도 하는데~

 

호랑이를 닮았으며 위력이 있어 감옥이나 법정으로 들어가는 문 위에 새긴다.

감옥의 위엄을 더하고 범죄자들이 경외심을 느끼게 하기 위함.

 

페안

개봉부 감옥 문 위에 붙인

 

 

5.도철 饕餮 惡獸(악수)

()- 탐하다, ()- 음식을 탐하다 =음식을 과도하게 탐한다.

 

도철 음식 먹는 것을 좋아하는데~ 모양은 늑대를 닮았고,

()이나 (=솥의 다리)에 무늬를 새겨 넣어 탐욕을 경계.

놀고 먹는 것 좋아함. 식기 반상기에 새김.

 

 

 

청동으로 만든 정

(상나라의 유물)

도철

 

 

6. 리수 螭首 *공하()

물을 좋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물 좋아함,

다리의 기둥에 새김.

()- 蛟龍(교룡) = 교룡의 머리.

 

우수를 배수하는 책임을 맡았으며, 축대 또는 다리에 위치하며 배수구로도 사용.

 

경복궁 금천교

강소성 무석의 혜산사 어비정으로 들어가는 다리

자금성 대기석

남경 주원장의 묘로 가는 제사당의 대기석

 

 

7.애자 睚眦

살생 좋아함, 칼의 콧등, 손잡이, 관우의 청룡언월도,

()()- 모두 눈초리 = 노한 눈으로 본다.

 

피 냄새와 살생을 좋아하는데~

모습은 늑대를 닮았으며, 보통 칼의 손잡이에 새겨진다.

권위를 나타내고 힘과 용기를 북돋운다.

 

애자-칼의 손잡이로

애자

睚眦

 

 

8.산예 狻猊

()()- 모두 사자 = 사자를 의미.

불과 연기를 좋아하고, 또한 앉아 있는 것을 좋아하는데~

狻猊(산예)- 사자의 별명이며, 사자의 형상.

 

이 사자는 호랑이와 표범을 잡아먹고 

불교가 들어올 때 같이 들어온 동물.

석가모니를 겁 없는 사자에 비유.

사람들은 부처의 좌석(사자좌/연화좌)이나 향로의 다리에 새겨 넣는다.

, 석가모니의 상징인 셈이다.

 

부처님 좋아하여 불대좌 용좌에...

불과 연기 좋아하여 향로에...

 

 

북경 백운관의 향로

소주 한산사의 향로

사자좌

 

 

9.초도 椒圖

나비 나방처럼 생겨 방문의 문고리에~, 닫기 좋아함

입을 닫아 있는 것을 좋아하는데~

남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 문을 지키는 신수로 사용.

 

얼굴이 지독하게 흉하게 생긴 것이 마치 후추나무와 같이 맵게 생겼다고 비유하여

초도라고 하는 것.

 

   * - 산초나무초

 

 

 

초도

초도-낙양 고분박물관 내의 고묘의 대문

초도

 

 

 


'마음의샘터 > 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상성도(八相成道)  (0) 2014.03.16
동양종과 서양종  (0) 2014.03.16
전통와패 만들기  (0) 2013.11.06
대문/지붕의 형태  (0) 2012.07.02
심우도  (0) 2012.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