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고 library

턱잎(보조잎=탁엽)

慈光/이기영 2016. 9. 18. 22:30

 

 

 

나비나물

콩과 나비나물속

 

큰잎은 먹을 수 있다.

나물 이름 붙은 동의나물은 독초이나 숙성후 먹을 수 있고,

피나물 역시 독초이나 물에 담근 후 독을 빼낸 후 먹을 수 있다.

 

보조잎(=턱잎, 탁엽 托葉)

잎자루의 밑에 붙은 한 쌍의 작은 잎

나비모양

나비나물, 갈퀴덩굴, 등갈퀴에도 있다.

무지 쓰다.

보조잎은 모두 쓰고, 맵고, 짜거나...

곤충들이 보조잎의 맛을 보고 쓴맛에 기겁을 하고,

큰 잎은 더 쓸 것이라고 판단하고 달려들지 않는다.

 

 

, 진동, 소리는 체중의 17배 민감하다.

- : 곤충에게는 사람보다 100만배 민감하다.

         신생아의 체중은 모체보다 1/16 ~ 1/20 이므로 그만큼 민감하게 느낀다.

- 냄새 : 새는 돼지의 6, 개보다 200배 더 감응한다(체중에 비례)

        박테리아, 곰팡이 등은 실시간 냄새를 맡는다.

 

 

나비나물

 

 

나비나물

 

 

탁엽

 

 

큰나비나물

  

 

 

  갈퀴나물

  콩과 나비나물속

 

 

살갈퀴

 

등갈퀴

 

털갈퀴나물(벳지)

녹비식물

 

털갈퀴나물(벳지)

 

 

 

갈퀴덩굴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

 

 

 

 

갈퀴덩굴

 

 

 

갈퀴덩굴

 

산갈퀴

 

 

등갈퀴나물

http://blog.daum.net/lgy8909/1257

 

얼치기완두/살갈퀴

http://blog.daum.net/lgy8909/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