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삶의방식/1.불교는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1-2.숲의 종교 불교의 정토사상

慈光/이기영 2020. 6. 24. 17:45

도량석

소종小鐘 : 작은 소리에서 큰 소리로(세상을 깨우고 제도)

 

불전사물 - 목어,  운판,  법고, 범종 

 

바라문교 브라흐만(대아, 보편진리, 신적 존재)

             - 아트만(소아, 상대자, 개별자)

 

불교佛敎

      – 숲의 종교(서로 어우러져 살아가는 터전)

      - 극복의 대상이 아닌,  생명유지 위한 투쟁 공간이 아닌

 

연기의 이치 자신의 변화는 숲 전체 환경에 영향, 숲의 변화는 각각 생명에 영향

 

자등명 법등명 自燈明 法燈明  (대반열반경) : 욕계6, 색계18, 무색계4

 

업력業力– 자신의 행위 습관,

 

윤회계(해탈) 불국정토(아미타부처님 세계)

 

무량수경 : 아미타불, 윤회하는 업력세계가 아니라 중생들을 깨달음에 이르도록 하는 원력세계願力世界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