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룽캬뿟따 동자(석가모니부처님 재세)의 의문
. 이세상은 시간적으로 변함없이 같은가? 같지 않은가? . 이 세상은 공간적으로 끝이 있는가? 없는가? . 진리는 하나인가? 둘인가? . 몸과 마음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
부처님의 답 : 자기생각에 얽매여 출가포기 자세를 꾸짖음
. 만일 어떤 사람이 독화살을 맞아 고통스러워하고 있을 때 . 화살 뽑아주려하지 않고 - 이 화살은 누가 쏘았으며 그 사람은 어떻게 생겼을까... - 어떤 일을 하고 나이는 얼마일까?...... |
불교의 가르침 : ‘고통으로 부터의 해탈’,
제악막작 중선봉행(모든 악업 짓지말고 모든 선업 지으라)
전도 선언 : 불교의 목적, 중생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전력
농경제(쟁기질 → 흙 속의 벌레 → 개구리 → 뱀 → 독수리)
: 생명에 대한 깊은 애민심, 평소 명상
녹야원 최초 가르침(다섯 수행자)
- 사성제 (고집멸도) ~ 분명한 자각으로부터
환경苦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자각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아름다운삶의방식 > 1.불교는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미래는 현재에 뿌리를 둔 가지 (0) | 2020.06.24 |
---|---|
1-3. 인드라망을 살아가는 우리 (0) | 2020.06.24 |
1-2.숲의 종교 불교의 정토사상 (0) | 2020.06.24 |
1-1.들숨과 날숨처럼 함께 살아가는 생명 (0) | 2020.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