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의 의미
眞理의 등불, 智慧의 등불, 慈悲의 등불, 幸福의 등불
1.處染常淨처염상정 사는 곳은 오염되었어도 항상 청정하다.
- 부처님의 삶
- 내 마음 속에 부처가 있다(衆生界=貪嗔癡)
爲什麽蓮華是佛花 위십마연화시불화 出汚泥而不染 출오니이불염 * 열사람什, 잘麽:어찌,그런가,어조사
|
불교를 대표하는 연꽃이~ 오염(번뇌)되었지만 오염되지 않은(菩提道) *부처님은 (成佛이후)오염된 인도에 사셨지만 느낌은 極樂淨土에 살고 계셨다. |
法華經 방편품제이 - 開示悟入 부처님이 이 세상에 출현한 네 가지 뜻.
請師父 치잉스부
2.因果同時 인과동시
- 花果同時 화과동시
- 감꽃→열매, 연꽃=연꽃+연씨(동시에 익어 나온다)
대과거 |
|
|
|
因 |
|
|
|
|
↓ |
과거 |
身口意 3업 |
- |
因 |
果 |
|
|
|
↓ |
|
현재 |
동시에 심는다 (因) |
|
果 |
|
|
↓ |
|
|
|
미래 |
果 |
→ |
해탈의 因 | |
|
|
|
|
|
-報寃行보원행(달마대사의 이입사행론) ~ 과거에 이런 종자를 심어서 빚 갚느라고 그러는구나!
-받을 때 잘 받을 것
* 업
‘나다!’라는 생각으로 지은 ‘탐/진/치’
‘아라한’이전 相없이 - 無爲法
3.三身一佛 삼신일불 * 기독교에서는 三位一體
① 法身佛
다르마(진리), 진리자체, 비로자나불=시간적 : 영원하다. 공간적 : 無所不在
淸淨法身毘盧遮那佛, Vairocana 수인 9手=뿌리구멍9개, 줄기구멍9개, 꽃 상통
= 三輪体空 (施者空, 受者空, 施物空), 두두물물이 空이다. 應無所住而生其心(無爲法)
色卽是空 空卽是色 - 본시 없었던 것이 因緣따라 온 것
연등
8角=8正道
正見 : 바르게 보는 것,
正思/正思惟 : 바르게 생각하는 것,
正語 : 바르게 말하는 것,
正業 : 바르게 행동하는 것,
正命 : 바르게 목숨을 유지하는 것(바른 밥벌이=직업),
正精進 : 바르고 부지런히 노력하는 것,
正念 : 바르게 기억하고 생각하는 것,
正定 : 바르게 마음을 안정하는 것
모서리=3學(戒/定/慧),3寶(佛/法/僧),3法印(一切皆苦or涅槃寂靜/諸行無常/諸法無我)
입구=4角(四聖諦Āryasatya:苦諦/集諦/滅諦/道諦) * 諦 살필체
철사 6가닥=六波羅蜜,六到彼岸=布施波羅蜜/持戒波羅蜜/忍辱/精進/禪定/智慧
→ 연꽃 붙이면서 해탈한다는 뜻
② 報身佛 : 깨달은, 成佛한, 과보를 얻음. 갚을 보
연씨는 1억년에 지나도 피어난다. 佛性이다.
③ 化身佛 : 교화, 제도, 나투신 분, 觀世音菩薩 卅二應身 *서른삽
꽃- 인연따라 잠시 잠깐 화현
眞理의 要件, 緣起法
永遠不變, 普遍妥當
①因果 ②無常 ③無我 ④苦 ⑤空 ⑥中道
* 法華經 방편품제이
諸佛世尊이
欲令衆生으로 開佛知見하사 使得淸淨故로 出現於世하시며
欲示衆生의 佛之知見故로 出現於世하시며
欲令衆生으로 悟佛知見故로 出現於世하시며
欲令衆生으로 入佛知見道故로 出現於世하시니라
우리 중생에게는 누구나 부처님이 될 수 있는 성질이 있는 것이니까
부처님께서는 일대사 인연으로 이 세상에 출현하시어 우리도 성불할 수 있음을 개시오입(開示悟入)하신 것.
① 부처님의 지견을 연다(開)는 뜻 :
- 우리에게도 본래 부처가 될 수 있는 불성(正因)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
② 부처님의 지견을 보여준다(示)는 뜻 :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면 이렇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시는 것.
③ 부처님의 지견을 깨닫게(悟) 한다는 것, 깨닫게 한다는 뜻 :
- 노력하기를 권하는 것.
④ 부처님의 길로 들어서게(入) 하는 것 :
- 우리를 인도해서 성불이란 단번에 되는 것이 아니니 불퇴전의 보살행을 쌓아서 마침내 성불할 때까지
꾸준히 노력하도록 가르치시는 것.
'마음의샘터 > 깨어있기 wisdo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롭게 글 읽는 법 (0) | 2011.04.22 |
---|---|
Seven up (0) | 2011.04.22 |
[스크랩] 백팔대참회문 (0) | 2011.04.15 |
향을 싼 종이에서는 (0) | 2009.03.31 |
자기 마음을 비추어 (0) | 200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