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한옥의 지붕-맞배지붕/우진각지붕/팔작지붕/모임지붕

慈光/이기영 2010. 1. 5. 13:24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 용마루와 내림마루로 구성

 

* 용마루,추녀마루로 구성

 

<부석사 범종루>

 

<숭례문>

 

<자금성 태화전>

 건물의 앞뒤에서만 지붕이 보임.
용마루와 내림마루로만 구성.
책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

주로 주심포 건물에 사용.
→시대적으로 고려 이전에 많이 사용.
 

* 조선시대 사당건물은
크기와 포의 종류와 관계없이
맞배집으로 함
 

네 면에 모두 지붕면이 만들어진 형태. 

전후면에서 볼 때는 사다리꼴 모양,
양 측면에서 볼 때는 삼각형의 지붕 형태.  

숭례문과 흥인지문과 같은
도성의 문과 궁궐의 정문.
 

  

 팔작지붕

 모임지붕

 

*용마루,내림마루,추녀마루로 구성

 

 

 

<마곡사 대광보전>

 

<사모지붕-신륵사 누각>

 

<육모지붕-향원정>

 우진각지붕위에 맞배지붕 올려 놓은 형태

측면에서도 지붕이 만들어지지만,
우진각처럼 삼각형 끝점까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작은 박공부분이 만들어지는 형태. 

조선시대 - 다포집에서 많이 사용.
부속채보다는 정전건물에 사용. 

* 현존하는 권위건물의 지붕형태 중 가장 많음.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지점에서 지붕골이 만남. 

모임지붕은 평면의 형태에 달라지는데,
사모지붕,육모지붕,팔모지붕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