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두리기둥)와 방주(사모기둥)으로 나뉨.
원주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된 기둥으로 방주보다는 격이 높다고 해서
주로 정전(政殿)이나 큰 건물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방주는 부속채나 작은 건물에 사용됨.
조선시대 민가에서는 원주기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금지.
원형기둥과 방형기둥의 사상에 따른 사용처를 보면, 음양이론에 따라
원형을 양인 남성으로, 방형을 음인 여성으로 생각함.
배흘림기둥 |
민흘림기둥 |
직립주 |
도랑주 |
|
|
<원주>/<방주> |
|
부석사 |
<00사>/<경회루> |
경복궁 |
개심사 |
가운데를 더 굵게 함. 주로 원주에 사용. 가운데 부분이 얇게 보이는 |
기둥머리보다 주로 방주에 사용. |
기둥머리와 기둥뿌리가 착시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궁궐과 사찰의 부속채, |
원목을 껍질만 벗겨 두리기둥(원주)의 일종. 조선후기 자연주의
|
'마음의샘터 > 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로왕과 허황옥-칠불사와 장유화상 (0) | 2011.04.21 |
---|---|
인천지역 지명의 유래 및 영역변화 (0) | 2011.04.14 |
초석(주춧돌)-자연석/원형/방형/사다리형/장주 (0) | 2010.01.05 |
한옥의 지붕-맞배지붕/우진각지붕/팔작지붕/모임지붕 (0) | 2010.01.05 |
한옥의 구조 : 공포-주심포계/다포계/익공계 (0) | 201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