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지명 유래 및 영역변화
시대 지역 |
삼국시대 |
통일신라(경덕왕때) |
고려시대 |
조선시대 |
근대이후 |
인천 (仁川)
|
백제(비류):미추홀국(彌鄒忽國) 고구려:매소홀현 (買召忽縣) -고구려 장수왕 한강유역 진출 |
소성현 (邵城縣) 757 |
현종:소성현 * 수주(1018)에 소속 숙종:경원군(慶源郡 1095~1105) 인종:인주(仁州, 1122 ~ 1146) 공양왕:경원부(府) 1390 |
태조:인주 1392 태종:인천(仁川)군 1413 세조:인천도호부 1460 숙종:인천현 1688 →도호부 1698 |
1895:인천부 1945:제물포시 (濟物浦市)→인천부 1949:인천시 1981:인천直轄市 1995:인천廣域市 |
부평 (富平) |
고구려:주부토 (主夫吐)
|
장제군 (長堤郡) |
성종:수주(樹州) 의종:안남도호부 (安南都護府) 고종:계양(桂陽) 도호부 충렬왕:길주목 (吉州牧) 충선왕:부평부 (富平府) |
태종:부평도호부 세종:부평현→ 도호부 숙종:부평현→ 도호부 |
1895:부평군 1914:富川군 1945:제물포시→ 인천부에 편입 1967:인천시 북구 1995:인천광역시 부평구/계양구 |
강화 (江華) |
백제:갑비고차 (甲比古次) 고구려:혈구 (穴口) |
해구군 (海口郡) |
태조:강화현 (江華縣) 고종:강도(江都) - 천도(遷都)시대 우왕:강화부(府) |
태종:강화도호부 광해군:강화부 [府尹] 인조:강화부 [留守] |
1895:강화군 1896:강화부 1906:강화군 1995:인천광역시에 편입 |
교동 (喬桐) |
고구려:고목근 (高木根) |
교동현 (喬桐縣) |
명종:교동현 |
태조:교동현 인조:교동부 [府使] |
1895:교동군 1914:강화군에 편입
|
* 관청+향교 → 관교동,
- 신포동 자리:제물포라고 불렀음
* 남동구(南洞區:남촌+조동면)
- 중구청자리가 중심:방위표시,자유공원(팔각정,나침판)
* 인천:성이 없는 읍,
교동:성이 있는 읍(대동여지도)
* 몽테뉴 : ‘제대로 아는 것’이 힘이다
* 비류의 건국신화 : 온조(한강유역: 十濟),
비류(서해안:미추홀) → 後에 合國 : 百濟
* 미추홀 :문학산 일대
* 능허대(凌虛臺) : 중국 뱃길의 현장, 한나루(大津),
백제의 전성기(근초고왕 346~374)
* 등주항로:인천 한나루(능허대)→덕물도(덕적도)→산동반도
* 경원군→인주→경원부 : 칠대어향(御鄕) = 고려문종,순종,선종,헌종,숙종,예종,인종 등 7대임금의 외향(외가)
* 인주이씨 중시조 이허겸(사당/묘소:원인재)~이자연~이자겸 : 80년간 왕실과 혼인 (고려중기 문벌귀족)
* 대각국사 의천(1055~1101)문종의 넷째왕자(이자연의 외손) : 고려속장경,천태종 창시,선/교종 통합운동
* 이자겸의 난(1126~27) : 가문의 쇠락
역사에 흐르는 인천의 진취적 개척정신
* 비류,소서노의 개국정신
* 최초의 항구개항 : 능허대 - 물류확장
* 해외이민 출발지 : 하와이,멕시코 이민 등
'마음의샘터 > 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동난계국악단 야외공연-2011 1문화재 1지킴이 전국대회 (0) | 2011.06.28 |
---|---|
김수로왕과 허황옥-칠불사와 장유화상 (0) | 2011.04.21 |
한옥의 기둥-배흘림기둥/민흘림기둥/직립주/도랑주 (0) | 2010.01.06 |
초석(주춧돌)-자연석/원형/방형/사다리형/장주 (0) | 2010.01.05 |
한옥의 지붕-맞배지붕/우진각지붕/팔작지붕/모임지붕 (0) | 2010.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