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수양-마음부자 /01 선비로산다는것은 25

03 친구와 책

03 친구와 책 나가서는 천하의 뜻 있는 선비와 사귀고 집에 들어와서는 옛 선현이 남긴 책을 읽는다. 出交天下士, 入讀古人書. 출교천하사, 입독고인서. -이가원(李家源)- 交 사귈 교 讀 읽을 독 ----------------------------- 공부하는 사람의 생활을 말한 것. 나는 이 글을 나(김영)의 스승인 이가원 선생님의 서예전에서 처음보고 마음에 담아두었다. 出交天下士(출교천하사)를 出爲天下事(출위천하사:나가서 천하의 일을 하다)로 바꾸어도 괜찮을 것이다. *이가원 : 퇴계(이황)의 14대손 *선비와 사귀고 = 글로써 친구를 맺고 인용출처 : 김영, 자락서당 www.zarakseodang.com

02 참된 선비

02 참된 선비 행동을 하면 사해에 혜택을 입혀주고 물러나 공부를 하면 진리를 천 년이나 밝히는 사람을 참된 선비라 할 수 있다. 行之則澤加於四海, 退而藏焉則道明乎千載, 행지즉택가어사해, 퇴이장언즉도명호천재, 然後乃吾所謂士也. 연후내오소위사야. -홍대용(洪大容)-澤 은혜 택. 못 택 藏 감출 장 載 해 재, 실을 재 ----------------------------- 활동을 하면 도를 밝히고 사회적 실천을 하면 사해에 두루 혜택을 입힐 수 있어야 참된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는 것. 옛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지구는 네모나다(天圓地方)라고 생각했고 그 한가운데 나라가 중국(中國)이라고 생각함. *홍대용 : - 기하학과 천문학에 밝았다*四海 - 四海之內의 준말. = 天下, 온 세상 인용출처 : 김영, 자락..

01 선비와 군자

01 선비와 군자 독서를 하는 사람을 선비라 하고 정치에 종사하면 대부라 하고 덕이 있으면 군자라 한다. 문반은 동쪽에 차례로 나열해 있고 무반은 서쪽에 차례로 벌여 있는데 이것을 합하여 양반이라고 한다. 讀書曰士, 從政爲大夫, 有德爲君子, 독서왈사, 종정위대부, 유덕위군자, 文秩敍東, 武階列西, 是爲兩班 문질서동, 무계열서, 시위양반 -박지원(朴趾源)- 秩 차례 질 敍 차례 서 階 층계 계 趾 발 지 源 근원 원 ----------------------------- 선비는 책을 읽어 학문적으로나 인격적으로 성숙한 군자가 되기를 바라고, 나라의 부름이 있으면 나아가 일을 한다. 서양에는 젠틀맨정신이 있고 일본에는 사무라이정신이 있다. 우리나라는 선비정신이라 할 수 있다. *사대부 : 책을 읽은(공부를 한..

제1강 이끄는 말 - 선비로 산다는 것은

선비로 산다는 것 우리는 지금 전 세계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온갖 정보를 교류하는 지식정보시대에 살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세계 여러 나라의 양질의 정보를 신속히 수용하는 것은 한 개의 발전뿐만 아니라 한 나라의 경제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는 개방적 진취성으로 선진기술과 정보를 수용하고 외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한편, 우리 고유의 가치와 문화를 남들에게 내놓고 세계화하는 작업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그러면 우리나라가 세계에 자랑할 만한 것들은 무엇이 있을까. 예전에 우리는 맑은 가을 하늘 이외에는 자랑할 만한 것이 많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휴대폰과 반도체, 자동차와 인터넷 기술 같은 많은 것들을 자랑스럽게 얘기할 수 있을 만큼 발전한 것이 사실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우수한 공산품..

aa 복습하기를 올리면서

복습하기를 올리면서 개인적인 생각인데, 우리말의 단어들이 대부분 한자로 구성되어 있어 그 뜻을 알면 훨씬 이해가 빠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초등학교 4학년 때 한글전용화를 실시하면서 국어교과서에 실린 한자를 지우기도 했다. 그 후 중학교 1학년 2학기말쯤인가? 국어시간에 다시 한문수업을 병행하였다. 아마도 이제껏 살아오면서 흥얼거리던 단문의 한문 문구들은 대부분 중학교 때 익혔던 것들과 대학1학년 국어시간에 배운 논어의 일부분일 것이다. 우연히 퇴근길에 도반을 따라나선 길....... 인하대학교 사범대 학장이신 김영교수님의 재미있는 한문강의를 듣게 되었다. 학장님은 ‘인터넷 세대를 위한 한문강의’라는 저서를 집필하셨고, 이를 홈페이지(자락서당 www.zarakseodang.com)를 통하여 소개를 하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