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자연스런 문장 16 자연스런 문장 우리나라 방언을 문자로 옮기면 그 민요의 운율을 맞추면 자연히 문장이 이루어지고 진기가 발현된다. 字其方言, 韻其民謠, 自然成章, 眞機發現. 자기방언, 운기민요, 자연성장, 진기발현. -朴趾源- 韻 운율 운 謠 노래 요(풍설,유언비어) ------------- 우리의 시는 우리 겨레.. 인격수양-마음부자 /10 시와음악즐기기 2013.07.20
15 노래는 정을 드러내 15 노래는 정을 드러내 노래는 정을 말로 한 것이다. 정이 말을 하도록 움직이고 말이 아름다운 형식을 이루면 노래라고 한다. 歌者, 言其情也. 가자, 언기정야. 情動於言, 言成於文, 謂之歌. 정동어언, 언성어문, 위지가. -洪大容- -----------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마음에 쓰지 않고는 못 배.. 인격수양-마음부자 /10 시와음악즐기기 2013.07.20
13 개성적인 시 13 개성적인 시 나는 내 시가 당시나 송시와 비슷하다느니 하게 될까 두렵고 오직 ‘허균의 시’라고 말하게 하고 싶다. 吾則懼, 其似唐似宋, 而欲人曰, 許子之詩也. 오즉구, 기사당사송, 이욕인왈, 허자지시야. -許筠- 懼 두려울 구(근심,걱정,위태로워하다) 似 비슷할 사(같다,닮다,잇다) -.. 인격수양-마음부자 /10 시와음악즐기기 2013.07.20
10 시는 뜻을 드러내 10 시는 뜻을 드러내 시는 뜻이 가는 바를 기술하는 것이다. 마음에 있으면 뜻이 되고 언어로 표현되면 시가 된다. 詩者, 志之所之也. 在心爲志, 發言爲詩. 시자, 지지소지야. 재심위지, 발언위시. -<詩經> 序- ---------- 시는 자기 마음을 운율과 언어에 담아 드러내는 것. 순수한 마음을 .. 인격수양-마음부자 /10 시와음악즐기기 2013.07.20
08 예에 노닐며 08 예에 노닐며 도에 뜻을 두며 덕을 굳게 지키며 인에 의지하며 예에 노닌다.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遊於藝.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孔子- 據 의거할 거 依 의지할 의 遊 놀 유 藝 심을 예, 기예 ------------------ 궁극적인 목표는 도에 두고 마음의 바탕은 덕에 두고 인의 정신으.. 인격수양-마음부자 /10 시와음악즐기기 201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