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살고 행복한 국가에서 태어났었더라면…"이란 바램은
그렇다면 행복의 정의는 과연 무엇일까.
무조건 부유하다고 해서 행복한 것은 아닐 것이다.

영국 레세스터 대학교는 최근 조사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의 순위를 꼽았다.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는
바로 북유럽의 부국 덴마크가 선정됐다.
그리고 세계 최강대국이며 자본주의의
정점에 서 있는 미국은 수많은 빈곤층과 불충분한
건강보험 제도 등으로 행복 순위가 23위에 그쳤다.
덴마크의 뒤를 이어
5위권에 속했다.
아일랜드(11위), 룩셈부르크(12위) 등이 뒤를 이었다.
비즈니스위크 최신호는 이들 국가가 행복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인구 550만명, 기대수명 77.8세, 1인당 GDP 3만4600달러.
덴마크는 높은 삶의 질을 갖고 있으며,
빈곤층의 비중은 무시해도 좋을 수준이다.
덴마크가 1위를 차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높은 교육수준이다.
사립학교 역시 중산층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등록비를 받고 있다.
덴마크 뛰어난 자연의 아름다움 역시 평온을 준다.

◇ 2위 스위스
인구 750만명, 기대수명 80.5세, 1인당 GDP 3만2300달러.
스위스는 사진 엽서 속의 풍경 같은 자연풍경에 둘러쌓여 있다.
중립국으로써의 위치도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 3위 오스트리아
인구 820만명, 기대수명 79세, 1인당 GDP 3만2700달러.
오스트리아는 스위스와 더불어 알프스 산맥의
멋진 자연 풍경을 끼고 있다.
분위기, 효율적 교통 시스템, 청정환경 등을 꼽고 있다.
오스트리아에서 빈곤층의 비중은 6%에 불과한 것으로 추산된다.
◇ 4위 아이슬란드
인구 30만명, 기대수명 80세, 1인당 GDP 3만5600달러.
아이슬란드에는 뛰어난 자연환경에
다른 국가들이 갖지 못한 뜨거운 온천들을 갖고 있다.
아이슬란드는 소국이지만 훌륭한 사회복지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빈곤층은 거의 없다. 실업률이 2.1%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 5위 바하마
인구 30만3800명, 기대수명 65.6세, 1인당 GDP 2만200달러.
카리브의 소국인 바하마 사람들은 인생을
즐기는 방법을 알고 있다.
강조하고 있다.
좋은 기후 여건과 평온한 사회분위기는 바하마인들을 낙천적으로 만들고 있다.
문화가 혼재된 특유의 문화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 6위 핀란드
인구 520만명, 기대수명 78.5세, 1인당 GDP 3만900달러.
핀란드는 춥고 어두운 겨울을 갖고 있다.
그리고 유럽에서도 높은 수준의 세율을 갖고 있다.
가난한 사람도 드물지만 아주 잘사는 사람도 역시 드물다.

◇ 7위 스웨덴
인구 900만명, 기대수명 80.5세, 1인당 GDP 2만9800달러.
스웨덴도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세율은 높고
겨울도 지루할 정도로 길다.
사회적 평등이란 측면에서 일체감을 주고 있다.
또 일과 생활의 밸런스는 스웨덴 사람들이 행복한 이유가 되고 있다.

◇ 8위 부탄
인구 230만명, 기대수명 55세, 1인당 GDP 1400달러.
아시아의 가난한 소국인 부탄이
행복한 국가 순위에서 높이 올라 있는 점은 놀라운 일이다.
하지만 연구진들은 부탄이 높은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 9위 브루나이
인구 38만명, 기대수명 75세, 1인당 GDP 2만3600달러.
브루나이에서는 정부가 국민들의 행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브루나이 정부는 무료의료서비스와 무료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브루나이 정부는
◇ 10위 캐나다.
인구 3300만명, 기대수명 80세, 1인당 GDP 3만4000달러.
캐나다는 종종 인접국인 미국에 가려 크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캐나다는 GDP 규모가 1조1000억달러에 달할 정도로
1인당 GDP도 상위권에 올라있다.
◇ 11위 아일랜드
인구 400만명, 기대수명 77.7세, 1인당 GDP 4만1000달러.
아일랜드는 한때 너무나도 못살았다.
19세기 대기근으로 수백만명이 굶어 죽고 이민을
떠나야 했던 가난한 농촌 국가에 머물러왔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눈부신 경제성장으로 '켈틱 호랑이'라는 별명마저 얻었으며,
훌륭한 교육 시스템, 개방 경제를 갖추고 있으며 무엇보다
'하면된다'는 정신과 즐길줄 아는 사회 분위기는
◇ 12위 룩셈부르크
인구 47만4500명, 기대수명 79세, 1인당 GDP 5만5600달러.
룩셈부르크는 돈이 행복을 살 수 있다는 명제를 입증(?)해 주는 좋은 사례다.
룩셈부르크의 1인당 GDP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인력 컨설팅 업체인 머서의 2005년 조사에 따르면

{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