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벗의 종류
<직역>
유익한 벗이 세 가지가 있고, 손해를 끼치는 벗이 세 가지가 있다.
곧고, 믿음이 있고, 견문이 많은 이를 벗하면 유익하고
치우치고, 무르기만 하고, 말만 잘하는 이를 벗하면 손해가 된다.
<원문>
益者三友, 損者三友.
익자삼우, 손자삼우.
友直, 友諒, 宇多聞, 益矣.
우직, 우량, 우다문, 익의.
友便辟, 友善柔, 宇便佞, 損矣.
우편벽, 우선유, 우편녕, 손의.
-공자-
損 덜 손 諒 믿을 량 辟 치우칠 벽
便 아첨할 편, 편할 편 佞 아첨할 녕, 말 잘할 녕
----------------------------------
꽃밭에 가면 꽃향기가 몸에 베고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지게 마련.
가까이하는 친구의 말투와 습관을
자기도 모르는 새 닮아가지 않던가.
<memo>
* 辟 = 偏僻(편벽) 치우치다
* ‘香을 싼 종이에서는 좋은 향이 나고,
생선을 묶는 새끼줄에서는 비린내가 난다.’
*부처님의 제자 중에는 출가한지 얼마 되지 않아
세속의 일들을 못잊어하고 과거에 집착하는 이들이 많았다.
어느 날 부처님께서는 이들을 데리고 길을 나섰다.
길가에 종이가 떨어져 있는 것을 보신 부처님은
한 제자에게 그것을 주으라고 이르셨다.
“그 종이는 무엇에 쓰던 것 같으냐?”
“향내가 나는 것을 보니 향을 쌌던 종이인가 봅니다.”
다시 길을 가는데, 이번에는 새끼줄 한토막이 떨어져 있었다.
부처님께서는 다시 그 제자에게 그것을 주으라고 하셨다.
“그 새끼줄은 어디에 쓰던 것 같으냐?”
“비린내가 나는 걸 보니 생선을 묶었던 새끼줄인가 봅니다.”
부처님은 말씀하셨다.
“인간의 본성은 맑고 깨끗하지만
그 인연에 따라 복을 일으키기도 죄를 일으키기도 한다.
어진 이를 가까이하면 뜻이 높아지고
어리석은 자를 벗하면 재앙이 닥치는 것이다.
마치 향 싼 종이에서 향내가 나고
생선 묶은 새끼줄에서는 비린내가 나는 것처럼,
사람들은 무엇엔가 점점 물들어 가면서도
그것을 깨닫지 못함이니라.“
'인격수양-마음부자 > 02 이웃과더불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입술이 없으면 (0) | 2013.05.21 |
---|---|
19 진심으로 타이르되 (0) | 2013.05.21 |
17 여자와 소인 (0) | 2013.05.21 |
16 꾸밈과 진실 (0) | 2013.05.21 |
15 더불어 말할 만한 사람 (0) | 2013.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