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삶의방식 33

2-❷-d. 원유 유출로 고통받는 생태계

1.태안 앞바다 기름유출사고(2007.12.7. 허베이스피릿호/삼성중공업해상크레인 충돌) -‘삼성1호 - 허베이’임에도 ‘태안~’이라는 바람에 태안지역 이미지 추락 -해수욕장,어장,양식장 오염 - 생업에 막대한 지장 -기름제거:전국 120만명 자원봉사자(두통,어지러뭄,메스꺼움) -생태계 완전복구: 약 100년 소요예상 *석유화학단지(원유정제) ; 울산, 전남 여수, 충남 대산 2.시프린스호 태풍 침몰(여수 앞바다, 1995) 3.알래스카(1989년) 최악의 환경 재앙사건 –미국 엑손모빌(세게1위 석유업체) 4.딥워터 호라이즌 폭발사고 -2010.4.20.,세계최대 기름유출사고, 영화로도 제작 발표됨 -미국 멕시코만, 원유유출 5개월 동안, 죽어가는 바다동물 -원유 나오는 순간 오염 시작 : 유출사고, 태..

2-❷-c. 쓰레기가 떠다니는 바다

바다 : 지구 표면 71%차지, 태양열 효과적 저장(생명체 살기 좋은 기후조성) 자연물/유기물 - 식물성플랑크톤이 정화, 스티로폼/플라스틱 - 분해 안됨. 바다거북 - 양식장/어선 어구(그물/낚싯줄/밧줄) 바다새 - 100만마리, 포유동물(고래/바다표범/바다소) - 10만마리 폐사 플라스틱-1회용 컵/빨대/페트병, 플라스틱섬(북태평양 한가운데)-한반도 7배 크기, 미세플라스틱 : 작은 물고기(몸속 쌓임)-큰 물고기-........-인간 물의 행성 : 71% 바다 생태계 교란되면 결국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음.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2-❷-b. 우리가 먹는 생수는 아무 문제없을까

우리 몸의 70%는 물, 먹는 샘물(생수) - 땅속에 있는 물, 1년에 1m 스며듦 - 오염 가능성 페트병 - 미세플라스틱(쓰레기 - 먹이사슬 - 몸속), 산불(돋보기역할) 지하수 - 우리나라 노년기지형, 제주도골프장 지하수 사용량 : 삼다수(생수)의 40배 싱크홀(땅꺼짐) -석회암, 퇴적암 - 지하수공간, 탄산칼슘 녹아....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2-❷-a. 가로막힌 물길

2-❷. 강과 바다(물) 2-❷-a. 가로막힌 물길 계곡물(골프장,리조트,고랭지농사,축산 오·폐수) → 강(상·하수) → (정수) → 산업/생활용수 4대강 : 녹차라떼 → 녹조, 큰빗이끼벌레(해삼모양) : 폐사(암모니아배출) → 물고기떼죽음 샛강살리기 : 法(水물수+去갈거, 물은 흘러야) → 포말 발생(발생기 산소) ☞스님계율 : ‘아프지 않으면 물에 대소변을 보거나 침을 뱉지 말아야 한다’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2-❶-d. 숲,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쉼터

그린벨트, 사찰 숲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옛 스님들의 지혜와 노력, 녹색댐 -우리나라 숲 : 1년 동안 소양강댐 10개와 맞먹는 180억 톤 물 저장 산사태 방지, 물의 정화(-산호초 생존), 건축자재, 나무젓가락과 종이, 아마존강 유역 농경지/방목장 벌목 마야 문명이 망한 원인 : 문화번성-대도시 조성-인주증가-경지마련-산림파괴-토양참식-작물감소-문명쇠락 보살본연경 -‘산림 속은 고요하고 한가한 곳으로 부처님과 성현이 즐거워하는 바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여읠 수 있다.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2-❶-c. 모든 생명을 죽이는 살충제

농약 –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생장조정제 단일농작물 → 천적 사라짐 → 해충발생, 화학비료 → 면역력 하락 → 병충해 약함 농약냄새, 밭 – 제초제 미국 골프장(보건 매뉴얼) - 임산부 출입자제(그린 : 지렁이, 땅강아지, 두더쥐 → 땅이 꺼짐) 산(재선충 항공방재-드론), 동/식물 → 사람몸 : 모유/태아의 조직에서도 화학물질 발견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2-❶-b. 땅의 생기를 빼앗는 화학비료

보릿고개(5~6월, 춘궁기) – 1970년대 통일벼 보급~화학비료(질소/인산/칼륨/복합비료) 공급 유기질비료(퇴비) : 지렁이(지룡, 토룡) 분변토, 산소공급 화학비료 : 토양 산성화 → 유기물 미분해, 미생물 살 수 없고 江 부영양화 → 녹조, 적조,지하수오염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

2-❶-a. 쓰레기는 정말 쓰레기일까

병들어 가는 우리 이웃 ◎ 서로 의지하여 존재하는 세간 환경 : ‘특정한 주체를 둘러싸고 있는 것’ ← 생태계(인간+뭇삶) 세간 : 일정한 실체가 없이 각자 상황과 여건에 따라 맞추어 변해가는 것 사대 : 땅(지대)·물(수대)·불(화대)·바람(풍대) ~ 서로 의존, 모든 물질은 4대로 이루어짐 2-❶. 땅 ‘예로부터 땅을 어머니’ : 모든 존재의 근원, 지탱, ‘가이아’ 이론 - 그리스 신화 지구의 여신 ‘밖으로부터 물의 요소가 흔들리면 외적인 땅의 요소가 자취도 없이 사라져버리기도 한다’ (부처님, 맛지마 니까야) 2-❶-a. 쓰레기는 정말 쓰레기일까? ‘음식을 버리면 벌 받는다’ 음식물쓰레기 –연간 500만ton- 2018년 약 1조원 처리비용, 1회용쓰레기 먹고 입을 때는 쓰레기가 아니라 → 남는 ..

1-5.환경苦에 대한 자각, 친환경적 삶의 의미

말룽캬뿟따 동자(석가모니부처님 재세)의 의문 . 이세상은 시간적으로 변함없이 같은가? 같지 않은가? . 이 세상은 공간적으로 끝이 있는가? 없는가? . 진리는 하나인가? 둘인가? . 몸과 마음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부처님의 답 : 자기생각에 얽매여 출가포기 자세를 꾸짖음 . 만일 어떤 사람이 독화살을 맞아 고통스러워하고 있을 때 . 화살 뽑아주려하지 않고 - 이 화살은 누가 쏘았으며 그 사람은 어떻게 생겼을까... - 어떤 일을 하고 나이는 얼마일까?...... 불교의 가르침 : ‘고통으로 부터의 해탈’, 제악막작 중선봉행(모든 악업 짓지말고 모든 선업 지으라) 전도 선언 : 불교의 목적, 중생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전력 농경제(쟁기질 → 흙 속의 벌레 → 개구리 → 뱀 → 독수리) : 생명에 ..

1-4.미래는 현재에 뿌리를 둔 가지

업이 세력화된 덩어리 - 전생업장前生業障 녹임, 선업짓기, 과거와 현재가 하나(=방향성을 지닌 힘o, 한 덩어리x) - ‘지금 내가’ 선업을 짓고 있다면, ‘과거와 현재가 모두’ 선의 방향으로 옮아가고 있는 것 출처:대한불교조계종 환경위원회, 아름다운 삶의 방식(환경을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불교생활백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