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 신라 철기는 당대의 세계적 명품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40> - 신라 철기는 당대의 세계적 명품 2009년 04월 16일 ▶ 경주 황남대총 남쪽 분(墳)에서 출토된 봉수형(鳳首形) 유리병(국보 193호). 서구(西歐)의 그릇처럼 손잡이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크로드와 스텝로드 신라의 유리그릇은 유명하다. 고구려·백..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9 백제는‘풍요로운 큰 나라’로 불렸다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9> - 백제는‘풍요로운 큰 나라’로 불렸다 2009년 04월 09일 ▶ 쌍날칼을 꽂은 창과 비슷한 무기 박기. 규슈(九州) 미야자키켄(宮崎縣) 미사토마치(美鄕町) 구다라노사토(百濟の里) 미카도진자(神門神社)의 건물 조사 때, 천장 안에서 1006개의 박기가 나왔다...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8 제철 가업 이어가는 백제 왕족들 일본 속의 백제 마을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8> 한∙일 고대왕조의 진상 - 철강 기술 교류를 중심으로 2009년 04월 02일 제철 가업 이어가는 백제 왕족들 일본 속의 백제 마을 ① 일본땅에 ‘백제 마을'이 생겨 번성하고 있다. 규슈(九州) 미야자키켄(宮崎縣) 미사토마치(美鄕町) 난고쿠(南鄕區) 구다라..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7 사쿠라(さくら·벚꽃)는 ‘무쇠창고’의 우리 옛말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7> - 사쿠라<さくら·벚꽃>는 ‘무쇠창고’의 우리 옛말 2009년 03월 26일 ▶ 포스코 인재개발원 앞뜰에 핀 벚꽃. 벚꽃과 무쇠창고의 일본말은 똑같은 ‘사쿠라’. 일본 천황들의 정체 <일본서기>는 720년 조정(朝廷)에 의해 완성된 일본에서 가장 오래..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6 한반도에서 건너간 7명의 일본 천황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6> - 한반도에서 건너간 7명의 일본 천황 2009년 03월 19일 ‘삼팔 따라지’의 거처를 방불케 하는 흙집. 가야시대(4~5세기) 유물인 집모양 토기. 높이 16.8㎝ 길이 15.2㎝ 폭 15.3㎝. ‘다라시’란 일본 천황 이름 지금으로부터 40, 50년 전의 일이다. 당시 우리나라..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5 우리 고대 제철용어 고스란히 일본어로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5> - 우리 고대 제철용어 고스란히 일본어로 2009년 03월 12일 ▶ 일본의 인간국보 기하라 아키라(木原明)씨가 7세기 신라 방식으로 만들었다는 강철 게라(けら). 한국어가 일본어로 바뀌는 법칙(2) 최근 일본어를 배우기 시작했다는 한 미국 청년이 ‘오십음..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4 일본 언어생활 바꾼 100만명의 도래인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4> - 일본 언어생활 바꾼 100만명의 도래인 ▶ 늠름한 소나무를 곁들여 그린 ‘초당독서도’.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그려진 이명기의 작품이다. 소나무의 신라말은 솔, 고구려·백제말은 부사. 붓 또는 실 다발을 뜻했다. 이 부사가 일본으로 가서 실 다..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3 수수코리<須須許理>는 ‘제철촌·무쇠골’의 뜻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3> 수수코리<須須許理>는 ‘제철촌·무쇠골’의 뜻 ▶ 5세기 가야의 말 장식 뿔잔 각배(角杯). 높이 21.5㎝, 길이 14.5㎝. 무쇠 짓기와 술 빚기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책 <고사기(古事記)>는 서기 712년에 엮어졌다. 이 책에 의하면, 5세기경 일본 천..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2 6세기 일본에 신라식 제철터 있었다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2> 6세기 일본에 신라식 제철터 있었다 ▶ 사철과 숯을 계속 넣어 불을 때면, 저로(抵爐) 안엔 빨간 죽 모양의 선철이 끓기 시작한다. 옛 제철 낱말 풀이 ‘사흘 밤낮’을 ‘한 동’이라 부른다. 우리 고대제철에서 일컫는 말이다. 진흙 가마를 빚어서 말려 ..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
31 원술은 ‘제철 무녀<巫女>’와 함께 일본으로 이영희 교수의 고대철강사 <31> 원술은 ‘제철 무녀<巫女>’와 함께 일본으로 ▶ 제철을 관장하는 여신인 ‘가나야고(金屋子)’는 제철공장의 높직한 언덕에 앉아 무쇠 불리기의 전 공정을 지켜본다. 옆에 있는 젊은 여인은 제철 무녀. 김유신의 아들 원술랑 ② 문무대왕이 일본에.. 고대철강이야기/4원술과제철무녀 201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