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꽃의 의미 연꽃의 의미 眞理의 등불, 智慧의 등불, 慈悲의 등불, 幸福의 등불 1.處染常淨처염상정 사는 곳은 오염되었어도 항상 청정하다. - 부처님의 삶 - 내 마음 속에 부처가 있다(衆生界=貪嗔癡) 爲什麽蓮華是佛花 위십마연화시불화 出汚泥而不染 출오니이불염 * 열사람什, 잘麽:어찌,그.. 마음의샘터/깨어있기 wisdom 2010.03.31
2010.3.28 나무심기 2010년 3월 28일 정규 봉사일(매월 2째주 일요일)인 4월 11일에는 나무심기가 늦지 않을까하는 염려로 번개 봉사일로 잡았습니다. 3월부터는 8시 출발하기로 하였는 바, 우리 학생 봉사자들 전원이 8시 이전에 도착하는 열성을 보여주었지요. 도착하자 마자, 9명은 <생활실 청소 및 어르신 식사케어>로 .. 마음의샘터/나눔의기쁨 volunteer 2010.03.28
2010.3.14 나무돌보기 2010년 3월 14일(일요일) 39명의 자원봉사자들은 배차를 받은 후 현지로 출발합니다. 이날의 할 일은 과수원에 돌 골라내기,나무를 심기위한 구덩이 파기, 나무에 거름주기, 퇴비내기, 미용봉사, 식당청소 등 다양하게 진행되었습니다. 15명의 학생 자원봉사자들은 먼저 나무에 거름(압축비료)을 주기 위.. 마음의샘터/나눔의기쁨 volunteer 2010.03.14
2010.2.21 화목작업2 2010년 2월 21일 지난 설연휴로 인해 이번 봉사일은 3번째주 일요일이 되었다. 의외로 학생봉사자와 여러분들이 많이 와 주셨다. 25명이 3대 차로 이동하는 재미(?)도 있었지만.....^^ 할머님들이 사용하시는 황토방에 장작을 하기 위해 인근 산에서 화목을 나르는 작업. (아침에 배차 문제로 경황이 없다보.. 마음의샘터/나눔의기쁨 volunteer 2010.02.21
2010.1.17 화목작업 2010년 1월 17일 새해 맞아 첫 봉사하는 날 정초부터 내린 눈으로 인해 쌓인 눈이 그대로 있었다. 햇살에 부신 아침 산책길이다. 지난 해 1번 참여하였고 이번이 2번째 참여하는 아이들... 새해에도 꾸준히 봉사 참여할 것을 다짐하고... 건축자재 운반을 먼저 지시 받아 옮기던중 지붕위에서 미끄러져 넘.. 마음의샘터/나눔의기쁨 volunteer 2010.01.17
한옥의 기둥-배흘림기둥/민흘림기둥/직립주/도랑주 원주(두리기둥)와 방주(사모기둥)으로 나뉨. 원주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된 기둥으로 방주보다는 격이 높다고 해서 주로 정전(政殿)이나 큰 건물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방주는 부속채나 작은 건물에 사용됨. 조선시대 민가에서는 원주기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법으로 금..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0.01.06
초석(주춧돌)-자연석/원형/방형/사다리형/장주 초석(주춧돌)은 주좌라고도 하며 기둥 밑에 놓여 기둥에 전달되는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주고 기둥을 통해 내려오는 하중을 지면에 효율적으로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형태에 따라 자연석,원형,방형,사다리형,장주초석이 있다. 자연석초석 원형초석 방형초석 사다리형초석 장..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0.01.05
한옥의 지붕-맞배지붕/우진각지붕/팔작지붕/모임지붕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 용마루와 내림마루로 구성 * 용마루,추녀마루로 구성 <부석사 범종루> <숭례문> <자금성 태화전> 건물의 앞뒤에서만 지붕이 보임. 용마루와 내림마루로만 구성. 책을 엎어 놓은 것과 같은 형태. 주로 주심포 건물에 사용. →시대적으로 고려 이..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0.01.05
한옥의 구조 : 공포-주심포계/다포계/익공계 ◑ 공포 전통 목조건축에서 처마 끝의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둥머리에 짜맞추어 무게를 받치도록 짧고 긴 나무와 고임의 소로를 포작으로 구성한 장치가 공포이다. 서까래와 부연이 만드는 처마가 깊어지면 처마 끝에 몰리는 하중을 분산시켜야 처마가 아래로 쳐지지..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0.01.05
한옥의 상단부-보/도리/처마(서까래/부연) 1. 보 건축물 뒷면의 기둥 위와 앞면의 기둥 위를 연결하는 부재. 즉, 용마루 선과는 직각을 이룸.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정면 뒤에서 정면 쪽을 향하고 있는 상단 부재. 대들보(大樑), 종보(宗樑) 2. 도리(道里) 건물 상단부에 있는 대들보의 위쪽에 위치 도리는 대들보와 직각방면으로.. 마음의샘터/문화재알기 cultural assets 2010.01.04